기후위기와 미학: 미적 가치의 역할에 대해서

임수영
Notes

📌 [Question marks] 📌

- 인간에게 ‘보기 좋지 않은’ 환경의 미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가?
- 미적 가치가 인간의 즐거움을 위해 생명체들을 배열하거나, 관조를 위해 자연환경을 인간에게 개방하는 것 외에 다른 행위를 지지하는 이유가 될 수 있는가?
- 환경의 미적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이 필요하다면 이때 필요한 지식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냐는 것이다. 기초 교육을 이수했을 때 알 수 있는 교양 수준의 지식인가? 아니면 학문적으로 더 깊이 들어가야 알 수 있는 전문적 지식인가?
- 비과학 접근은 미적 가치가 지닌 규범성을 이해하는 더 나은 관점을 제시하는가?
- 비과학 접근이 말하는 미적 경험에 동반하는 즐거움은 환경 개발에 반대하는 캠페인이나 시위에 참여하거나, 산이나 습지에 살아가는 생명체들의 활동을 기록하는 행위를 인도하는 이유가 될 수 있을까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