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안적 아카이브 실천으로서 ‘역-아카이브’ 출판물

서민경, 오창섭
Notes

📍내용 발췌

연구배경
본 연구는 오늘날 범람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가 대부분 아날로그 매체를 기록하고 보존하는 것에 치중된 데 반해 디지털 매체의 산물은 아카이브 실천이 다루는 대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주목했다.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특성과 한계를 밝힌 후,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대안적 아카이브 실천으로서 ‘역-아카이브’ 개념과 내용을 제시하고,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.

연구방법 시간적으로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0년대부터 현재까지, 내용적으로는 아카이브의 내용과 흐름, 그리고 디지털 콘텐츠를 아날로그 매체로 기록한 사례를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. 역-아카이브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관련 문헌의 담론 분석을 수행했다.

연구결과 웹 데이터의 증가,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, 하드웨어 저장 매체 환경의 변화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한계점을 드러냈다. 이러한 상황은 역-아카이브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. 역-아카이브란 디지털 매체의 산물을 아날로그 매체에 기록하는 실천이자 그 결과물로, 대안적 아카이브의 가능성을 보여준다. 본 연구에서는 「아이웨이웨이 블로그: 에세이, 인터뷰, 디지털 외침들」, 「R.I.P. FLASH」, 「더 스팸 북」을 역-아카이브의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했다.

결론 역-아카이브는 기존 아카이브의 문제를 보완하는 대안적 아카이브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고, 최근 등장한 관련 아카이브 북 출판 사례들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.